폭스바겐, 미국 관세에 대응해 수수료 부과… 독일 자동차 업계 반발 확산

독일의 대표적인 자동차 제조사인 폭스바겐이 미국 정부의 새로운 관세 정책에 대응해 수입 차량에 추가 수수료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광범위한 수입 관세 조치에 따른 것으로, 독일 자동차 산업 전반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미국 현지 시간으로 수요일, *월스트리트 저널(WSJ)*은 폭스바겐이 미국 수입 관세의 영향을 받는 차량에 대해 추가 수수료를 도입하겠다는 내용을 담은 메모를 이미 딜러들에게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 메모는 화요일에 미국 내 폭스바겐 딜러들에게 발송됐으며, 관세에 따른 운송 및 물류 문제로 인해 일부 조정이 이뤄지고 있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폭스바겐은 멕시코에서 미국으로 이동하는 차량의 철도 운송이 일시적으로 중단되었으며, 유럽에서 선박으로 운송되는 차량도 항구에서 보류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회사는 이번 조치를 “일시적인 대응”이라고 밝혔으며, 물류 기업들과 협력해 향후 상황이 안정되면 차량 운송을 최적화하겠다는 방침이다. 폭스바겐 측은 미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이 불확실성의 시기를 최대한 투명하게 극복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미국의 새 관세 정책에 대해 독일 자동차 산업계는 강도 높은 비판을 내놓고 있다. 독일자동차산업협회(VDA)의 힐데가르트 뮐러 회장은 목요일 성명을 통해 이번 조치는 “세계 무역 질서를 근본적으로 위협하는 중대한 정책 변화”라고 강조했다.

뮐러 회장은 “이번 결정은 미국이 규칙 기반의 글로벌 무역 질서에서 이탈하겠다는 신호”라며, 이는 “전 세계의 가치 사슬과 그에 따른 성장, 번영을 가능케 했던 기반을 허무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것은 ‘아메리카 퍼스트’가 아니라 ‘아메리카 얼론(고립된 미국)’에 불과하다”고 일침을 가했다.

그녀는 또한 “보호무역주의는 결국 모두에게 피해만 줄 것”이라며, “이러한 관세 조치는 미국 기업의 혁신 동력을 떨어뜨리고, 결국 국제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VDA는 이번 관세 조치가 자동차 산업 전체와 글로벌 공급망에 큰 부담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국 정부가 4월 3일부터 최소한 승용차, 경량 상용차, 일부 자동차 부품에 대해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지만, 그 구체적인 영향은 아직 파악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다만, “이번 조치가 세계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은 분명하며, 이는 고용 시장에도 타격을 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미국 내 2,000개 이상의 거점을 갖추고 약 13만8천 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는 독일 자동차 산업은 “오랜 시간 동안 미국 시장과 밀접히 연결되어 있으며, 현지에서 직접 생산망을 구축해 온 대표적 사례”로 꼽히고 있다. 이러한 구조조차 관세의 영향권에 놓이게 되면서, 업계 전반에 걸친 재조정이 불가피해질 전망이다.